일반 분류
약자보호는 인간만이 지닌 특성이 아닐수도
작성자 정보
- ㅇㅇ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8 조회
- 2 댓글
본문
입력: 2015.11.13 08:54 수정: 2015.11.13 08:54
사회적 약자를 함께 돌보는 행동은 인간만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동물들 중에도 유사한 습성을 지닌 사례는 없지 않다. 최근 일본 과학자들이 야생 침팬지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돌봄’ 현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해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9일(현지시간), 교토대학교 야생동물연구센터 연구팀은 아프리카 탄자니아에 서식하는 침팬지 무리에 대한 2년 동안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지난 2011년 탄자니아 마할레 국립공원에서 ‘심각한 장애’가 있는 새1끼 침팬지가 포함된 침팬지 무리를 발견, 2013년 새1끼의 모습이 더 이상 보이지 않게 됐을 시점까지 이들의 행동을 관찰·분석했다. 연구팀은 새1끼가 안타깝게도 결국 사망했다고 추정하고 철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관찰했던 새1끼 침팬지는 인간의 다운 증후군과 유사한 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팔다리를 제대로 가누지 못할 정도로 몸이 약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연구팀은 “장애를 가진 새1끼를 특별히 돌보려는 어미의 노력과 자매들의 ‘새1끼보호행동’(allomothering) 덕분에 이 침팬지는 야생에서 23개월 동안 생존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새1끼보호행동’이란 동물들이 친자식이 아닌 어린 개체를 돌보는 습성을 의미한다.
실제 이 장애 침팬지는 일반 새1끼들과 달리 팔다리 힘이 부족해 젖을 먹는 동안 어른의 몸에 매달려 있지 못했는데 이 때 어미는 물론 암컷 형제들도 나서서 새1끼의 몸을 받쳐주는 등 도움을 제공한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무리의 다른 침팬지들도 장애 침팬지를 두려워하거나 혐오하는 모습을 전혀 보이지 않았으며 새1끼보호행동을 나타냈다. 다만 장애 침팬지의 ‘친모’는 이러한 동료 침팬지들의 도움을 허락하지 않고 새1끼를 직접 돌보는 것을 선호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미치오 나카무라 쿄토대학교 야생동물연구센터 조교수는 야생 침팬지들의 ‘사회적 돌봄’ 행동을 최초로 관찰한 이번 연구가 인류의 사회복지 발달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사회적 돌봄의 능력은 인류의 선조에게도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그러나 그 능력이 현생인류로 진화하고 나서 생겨난 것인지 아니면 그 전부터 존재했는지 여부를 두고 논의가 있어 왔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논문은 영장류(Primates)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관련자료
댓글 2개
ㅇㅇ님의 댓글
flitbiz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