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분류
한글 맞춤법의 유례는 일제의 1930년 언문 철자법
작성자 정보
- ㅇㅇ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0 조회
본문
현행 <한글 맞춤법>은 일제 잔재이다! 현행 <한글 맞춤법>은 일제 잔재이다! 어리석은 우리 백성들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에서 제정한 현행 <한글 맞춤법>이 우리 학자들이 우리말과 글을 지키기 위한 우국충정의 산물(産物)이라고 속고 있다. 사실 그것은 1930년에 조선총독부에서 만든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일제 잔재에 지나지 않는다. 조선총독부는 1912년에 이미 ‘보통학교 언문 철자법’을 만들어 시행하여 왔으며, 1919년 온 나라를 뒤흔들었던 기미년 독립운동 사건에 자극을 받아 종래 무단정치(武斷政治) 대신 표면상으로 문화정치를 표방하여 1921년에 다시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대요’를 만들어 우리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쳐왔다.
그 후 아동들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고 우리말 철자법을 정리하고, 통일을 도모하기 위해서 1930년에 새 철자법인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을 다시 만들게 되었다. 이것은 조선 총독부 학무국 원안(原案)을 2년 동안 두 번에 걸쳐 조사회(調査會)를 가지고 심의(審議)하여 결정된 것이다. 즉 1928년에 박승두(朴勝斗), 박영빈(朴永斌), 심의린(沈宜麟), 이세정(李世楨) 등이 조사위원으로 참여하여 제 1차 조사회(調査會)를 가졌으며, 그 이듬해인 1929년에는 권덕규(權悳奎), 김상회(金尙會), 신명균(申明均), 심의린(沈宜麟), 이세정(李世楨), 이완응(李完應), 장지영(張志暎), 정열모(鄭烈模), 최현배(崔鉉培), 오꾸라신뻬이(小倉進平), 다까하시교(高橋亨), 다나까도꾸따로(田中德太郞), 니시무라신따로(西村眞太郞), 후지나미기데이(藤波義貞) 등이 조사 위원으로 제 2차 조사회(調査會)에서 심의(審議)를 마치고 1930년에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이라는 것이 공포(公布)되었다.
그 이전에 만든 ‘보통학교 언문 철자법’이나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대요’는 표음주의(表音主義)였으나 이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은 형태주의적인 표기법, 즉 표의적기사법(表意的記寫法)을 널리 도입하였다. 그 이유는 조사위원에 권덕규(權悳奎), 신명균(申明均), 심의린(沈宜麟), 정열모(鄭烈模), 최현배(崔鉉培) 등 주시경(周時經) 문하에 있던 형태주의 학자들이 많이 참여해 그들의 의견을 채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형태주의에 대한 표음주의파의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고 예측되며 이 철자법에 나타난 불완전한 형태주의는 두 파의 갈등에서 비롯된 산물(産物)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일본 글자는 전형적인 형태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글자라는 것을 참고하기 바란다
두 파의 갈등은 결국 그 후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로 무대를 옮겨 형태주의적인 표기를 더욱 보완하여 1933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란은 것을 만들었는데 광복과 남북 분단 후, 한글 맞춤법은 이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초(基礎)로 형성되기에 이른다. (위키 백과사전 :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 참조) 그런데 실상 주시경(周時經)은 형태주의 국어학자가 아니고 한글은 소리를 적는 문자(文字), 즉 표음주의(表音主義)를 표방하는 학자였다. 주시경(周時經)은 그의 연구에서 문자(文字)를, 소리를 적는 문자[기음문자(記音文字)]와 뜻을 적는 문자[기사문자(記事文字)]나누고, “소리를 적는 문자(文字)가 훨씬 훌륭한 것이니 한자(漢字)대신 국문(國文)을 사용해야한다”고 주장한 사람이다.
따라서 위에서 “권덕규(權悳奎), 신명균(申明均), 심의린(沈宜麟), 정열모(鄭烈模), 최현배(崔鉉培) 등 주시경(周時經) 문하에 있던 형태주의 학자들”이란 잘못된 표현이다. 그들은 모두 일본식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거나 일본에서 대학을 마친 사람들이어서 일본 문자(文字)가 뜻을 적는 문자[기사문자(記事文字)]이므로 일본 정책에 동조하는 뜻에서 스승의 이론을 부정(否定)하고 한글을 뜻을 적는 글자(기사문자(記事文字)로 둔갑시켰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조선총독부가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을 제정하여 공포한 해인 1930년 12월 13일에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 총회 결의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기로 하고, 권덕규(權悳奎), 김윤경(金允經), 박현식(朴賢植), 신명균(申明均), 이극로(李克魯), 이병기(李秉岐), 이윤재(李允宰), 이희승(李熙昇), 장지영(張志暎), 정열모(鄭烈模), 정인섭, 최현배(崔鉉培) 등 12명을 위원으로 하여 2년간 심의를 거듭하여 1932년 12월에 이르러 원안 작성을 마치고, 또다시 김선기, 이갑, 이만규, 이상춘. 이세정(李世楨), 이탁(李鐸) 등 6명을 더 증원하여 모두 18인의 위원으로 개성 회의(1932년 12월 25일~1933년 1월 4일)를 열어 원안을 축조 토의하여 제 1독회를 마치고, 다시 수정을 위해서 권덕규(權悳奎), 김선기, 김윤경(金允經), 신명균(申明均), 이극로(李克魯), 이윤재(李允宰), 이희승(李熙昇), 장지영(張志暎), 정인섭, 최현배(崔鉉培) 등 10명을 수정위원으로 6개월간 수정을 마쳤다.
그 후 위원 전체로써 다시 화계사에서 1933년 7월 25일에서 8월 3일에 걸쳐 수정안을 재 검토하여 제 2독회를 마치고 이것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기 위해서 권덕규(權悳奎), 김선기, 김윤경(金允經), 신명균(申明均), 이극로(李克魯), 이윤재(李允宰), 이희승(李熙昇), 정인섭, 최현배(崔鉉培) 등 9명에게 맡겨 최종정리를 마치고 그 해 10월 19일에 본회 임시총회를 거처 이를 시행하기로 결의 하였다. 이들 위원들 성분을 살펴보면 조선총독부에서 ‘언문철자법(諺文綴字法)’을 제정할 때 참여했던 친일 성향 사람이 6명[권덕규(權悳奎), 신명균(申明均), 심의린(沈宜麟), 이세정(李世楨), 정열모(鄭烈模), 최현배(崔鉉培)], 일본대학을 졸업한 사람이 5명[김윤경(金允經), 이희승(李熙昇), 정열모(鄭烈模), 정인섭, 최현배(崔鉉培)]으로 절대 다수로 친일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주류(主流)를 이루고 있다.
거기에 독일과 France 유학파가 2명[김선기, 이극로(李克魯)]으로 모두 11~3명 정도가 친일 성향으로 분석되는데다가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이 모태(母胎)가 되었다는 것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친일 성향이 농후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사실을 감안하면 현행 “한글 맞춤법”은 일본 총독부가 만든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을 모태(母胎)로 만들어진 일본 제국주의 산물(産物)로 친일파 학자들에 의해서 제정된 것임이 증명되는 것이다. 현행 한글 맞춤법은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정신과 창제원리를 말살한 일본 제국주의 잔재임이 증명된 이상 일제 잔재를 청산하는 뜻에서 현행 한글 맞춤법은 폐기되어야 마땅하며 세종대왕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정신을 한껏 살리고 창제 원리를 살려 세계화 시대에 편승하는 새로운 한글 맞춤법을 만들어야 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이다.
그 후 아동들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고 우리말 철자법을 정리하고, 통일을 도모하기 위해서 1930년에 새 철자법인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을 다시 만들게 되었다. 이것은 조선 총독부 학무국 원안(原案)을 2년 동안 두 번에 걸쳐 조사회(調査會)를 가지고 심의(審議)하여 결정된 것이다. 즉 1928년에 박승두(朴勝斗), 박영빈(朴永斌), 심의린(沈宜麟), 이세정(李世楨) 등이 조사위원으로 참여하여 제 1차 조사회(調査會)를 가졌으며, 그 이듬해인 1929년에는 권덕규(權悳奎), 김상회(金尙會), 신명균(申明均), 심의린(沈宜麟), 이세정(李世楨), 이완응(李完應), 장지영(張志暎), 정열모(鄭烈模), 최현배(崔鉉培), 오꾸라신뻬이(小倉進平), 다까하시교(高橋亨), 다나까도꾸따로(田中德太郞), 니시무라신따로(西村眞太郞), 후지나미기데이(藤波義貞) 등이 조사 위원으로 제 2차 조사회(調査會)에서 심의(審議)를 마치고 1930년에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이라는 것이 공포(公布)되었다.
그 이전에 만든 ‘보통학교 언문 철자법’이나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대요’는 표음주의(表音主義)였으나 이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은 형태주의적인 표기법, 즉 표의적기사법(表意的記寫法)을 널리 도입하였다. 그 이유는 조사위원에 권덕규(權悳奎), 신명균(申明均), 심의린(沈宜麟), 정열모(鄭烈模), 최현배(崔鉉培) 등 주시경(周時經) 문하에 있던 형태주의 학자들이 많이 참여해 그들의 의견을 채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형태주의에 대한 표음주의파의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고 예측되며 이 철자법에 나타난 불완전한 형태주의는 두 파의 갈등에서 비롯된 산물(産物)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일본 글자는 전형적인 형태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글자라는 것을 참고하기 바란다
두 파의 갈등은 결국 그 후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로 무대를 옮겨 형태주의적인 표기를 더욱 보완하여 1933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란은 것을 만들었는데 광복과 남북 분단 후, 한글 맞춤법은 이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초(基礎)로 형성되기에 이른다. (위키 백과사전 :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 참조) 그런데 실상 주시경(周時經)은 형태주의 국어학자가 아니고 한글은 소리를 적는 문자(文字), 즉 표음주의(表音主義)를 표방하는 학자였다. 주시경(周時經)은 그의 연구에서 문자(文字)를, 소리를 적는 문자[기음문자(記音文字)]와 뜻을 적는 문자[기사문자(記事文字)]나누고, “소리를 적는 문자(文字)가 훨씬 훌륭한 것이니 한자(漢字)대신 국문(國文)을 사용해야한다”고 주장한 사람이다.
따라서 위에서 “권덕규(權悳奎), 신명균(申明均), 심의린(沈宜麟), 정열모(鄭烈模), 최현배(崔鉉培) 등 주시경(周時經) 문하에 있던 형태주의 학자들”이란 잘못된 표현이다. 그들은 모두 일본식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거나 일본에서 대학을 마친 사람들이어서 일본 문자(文字)가 뜻을 적는 문자[기사문자(記事文字)]이므로 일본 정책에 동조하는 뜻에서 스승의 이론을 부정(否定)하고 한글을 뜻을 적는 글자(기사문자(記事文字)로 둔갑시켰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조선총독부가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을 제정하여 공포한 해인 1930년 12월 13일에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 총회 결의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기로 하고, 권덕규(權悳奎), 김윤경(金允經), 박현식(朴賢植), 신명균(申明均), 이극로(李克魯), 이병기(李秉岐), 이윤재(李允宰), 이희승(李熙昇), 장지영(張志暎), 정열모(鄭烈模), 정인섭, 최현배(崔鉉培) 등 12명을 위원으로 하여 2년간 심의를 거듭하여 1932년 12월에 이르러 원안 작성을 마치고, 또다시 김선기, 이갑, 이만규, 이상춘. 이세정(李世楨), 이탁(李鐸) 등 6명을 더 증원하여 모두 18인의 위원으로 개성 회의(1932년 12월 25일~1933년 1월 4일)를 열어 원안을 축조 토의하여 제 1독회를 마치고, 다시 수정을 위해서 권덕규(權悳奎), 김선기, 김윤경(金允經), 신명균(申明均), 이극로(李克魯), 이윤재(李允宰), 이희승(李熙昇), 장지영(張志暎), 정인섭, 최현배(崔鉉培) 등 10명을 수정위원으로 6개월간 수정을 마쳤다.
그 후 위원 전체로써 다시 화계사에서 1933년 7월 25일에서 8월 3일에 걸쳐 수정안을 재 검토하여 제 2독회를 마치고 이것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기 위해서 권덕규(權悳奎), 김선기, 김윤경(金允經), 신명균(申明均), 이극로(李克魯), 이윤재(李允宰), 이희승(李熙昇), 정인섭, 최현배(崔鉉培) 등 9명에게 맡겨 최종정리를 마치고 그 해 10월 19일에 본회 임시총회를 거처 이를 시행하기로 결의 하였다. 이들 위원들 성분을 살펴보면 조선총독부에서 ‘언문철자법(諺文綴字法)’을 제정할 때 참여했던 친일 성향 사람이 6명[권덕규(權悳奎), 신명균(申明均), 심의린(沈宜麟), 이세정(李世楨), 정열모(鄭烈模), 최현배(崔鉉培)], 일본대학을 졸업한 사람이 5명[김윤경(金允經), 이희승(李熙昇), 정열모(鄭烈模), 정인섭, 최현배(崔鉉培)]으로 절대 다수로 친일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주류(主流)를 이루고 있다.
거기에 독일과 France 유학파가 2명[김선기, 이극로(李克魯)]으로 모두 11~3명 정도가 친일 성향으로 분석되는데다가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이 모태(母胎)가 되었다는 것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친일 성향이 농후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사실을 감안하면 현행 “한글 맞춤법”은 일본 총독부가 만든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을 모태(母胎)로 만들어진 일본 제국주의 산물(産物)로 친일파 학자들에 의해서 제정된 것임이 증명되는 것이다. 현행 한글 맞춤법은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정신과 창제원리를 말살한 일본 제국주의 잔재임이 증명된 이상 일제 잔재를 청산하는 뜻에서 현행 한글 맞춤법은 폐기되어야 마땅하며 세종대왕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정신을 한껏 살리고 창제 원리를 살려 세계화 시대에 편승하는 새로운 한글 맞춤법을 만들어야 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이다.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